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또 입니다.

 

오늘은 애드고시라는 악명으로도 자주 언급이 되는 '애드센스'에 대한 글을 써볼건데요,

 

저는 올해 4월부터 준비하여 7월에 승인을 받고 현재 애드센스를 통한 수익창출을 하는 중에 있습니다.

 

 

애드센스의 승인 기준은 기본적으로 구글 사이트에서 공시를 하고는 있지만

 

여러분들도 제 글을 찾아오셨다싶이,

자세한 공지는 없고, 기준이 엄격하며, 그중에 무엇이 잘못된 것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예전에는 승인 받기가 비교적 쉽고 한번에 여러 사이트를 등록이 가능해서 마케팅 업체에서 광고를 하기 위해서 사이트들을 공장에서 찍어내듯이 생산해버려서 애드센스의 퀄리티가 낮아졌으니,

 

그에따라 구글에서 작정하고 조치를 한 것으로 보입니다.

 

장기적으로 봤을때는 일반인들에게 이득일 것 같으니 열심히 해봅시다.

 

 

애드센스 승인에 있어서 저도 2~3달 정도 걸리면서 뭐가 잘못됬는지 여기저기 찾아봤었는데요,

 

블로그마다 알려주는 정보다 달라서 어떻게 해야될지 모르겠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이미 수익이 공개된 분들의 책이나, 강의를 찾아가서 들었었는데요 

 

그러다보니 비슷하지만 알맹이가 있더라구요.

 

 

그 정보들을 취합해서 정리된 요소들을 여러분께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양질의 콘텐츠

이 멘트를 보고 아.. 또 다른 블로그랑 같네 라고 말씀하실 수 있습니다.

 

이미 어디선가 들어본 것이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저는 좀 더 디테일한 요소를 드린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제가 지금 부가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티스토리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위에 언급드렸듯이 2019년도쯤부터 구글에서는 애드센스 광고가 무차별적으로 이용되지 않도록 작정하고 조치를 취했습니다.

 

이를 뚫고 승인 받기 위한 양질의 콘텐츠의 작성 기준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블로그의 주제를 명확하게 잡아야 합니다. (학문과 기술에 관련된 주제라면 매우 좋습니다.)

물론 학문과 기술에 관련된 주제가 아니어도 승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애드센스 광고를 최대한 빠른 시간안에서 승인을 받고 싶다면,

 

자신의 블로그가 어떠한 주제를 잡고 있으며 사람들이 내 블로그의 글을 보고 흥미로움을 느끼고 들어올 가능성이 높다.

 

라는 것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이는 애드센스의 수익 구조와 관련이 있는 부분이라 얘기하면 길어지니 다음 글에서 다시 써드리겠습니다.

 

 

자 그럼 어떠한 요소들을 주제와 관련되게 만들어야 하느냐.

 

블로그 이름, 카테고리의 주제, 주제와 관련된 포스팅이 삼박자를 기본으로 구성하시면 됩니다.

 

예를들어,

 

제 티스토리의 이름음 '이또의 IT세상' 입니다.

카테고리의 주제와 이름은 각각 IT - IT이구요.

포스팅된 글은 IT와 관련된 모바일, 제품 리뷰, IT와 관련된 팁 입니다.

 

이런식으로 일관성이 있게 해주셔야 승인을 받는데에 유리합니다.

 

이렇게 구성을 하지 않고도 승인을 받고 싶으시다면,

 

글 개수를 100개이상, 평균 글자수 5,000~ 10,000자 이정도를 해주셔야 하는데,

 

난이도 차이가 심각하죠?

 

 

주제를 맞춰주기만 한다면

 

전체 포스팅의 수 10~20개, 평균 글자수 1,000~1,500자, 카테고리는 3개 이하 이정도만 맞춰주시면 됩니다.

 

 

 

  • 꾸준한 포스팅을 해주면 좋다.

뭐 흔히들 말하시는 1일 1포스팅 까지는 아니어도,

일주일에 5개 정도는 써주시면 좋습니다.

 

정말 길게 보신다면 뭐 일주일에 1,2개정도 써주셔도 되지만,

시간이 많이 걸리겠죠?

 

예약글로 써주셔도 되니 1~2일정도 몰아서 쭉 써주시면 됩니다.

예약글이 좋지 않다, 구글이 싫어한다, 뭐 말들이 많은데

 

전부 루머입니다.

 

꾸준한 포스팅의 얘기가 나오는것은 애드센스 측에서 광고를 게시했을때

이 블로그에서 정기적으로 콘텐츠가 생성되니 유입되는 사람 또한 꾸준하게 있을 것이다.

 

라는 생각이 들게 해주도록 어필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입니다.

 

 

 

  • 포스팅의 평균 글자수는 어떻게 하면 좋나요

개별 글자수도 중요하지만 제목처럼 '평균 글자수'가 중요합니다.

 

뭐 어디보면 3,000자 이상써라, 2,000자 이상 써라 있는데

 

그 이야기의 근본은 이것입니다.

 

평균 1,000자 글을 10개쓰면 총 글자수 10,000자를 보유한 블로그.

 

2,000자 이상의 글 5개를 보유하면 10,000자를 보유한 블로그.

 

감이 오시나요?

 

 

구글에서는 개별적인 하나하나의 포스팅을 보는 것이 아닌.

 

전체 글자수를 보는 것 입니다.

 

 

물론 그렇다고해서 포스팅 하는 것마다 300~500자 정도면 안되겠죠?

 

악용을 넘어갈 만큼 구글은 호락호락하지 않습니다.

 

 

항상 1,000자 이상을 맞추는게 아니라,

 

뭐 800자를 썼다가 다음날은 1,200자 썼다가 해도 된다는 뜻입니다.

 

 

 

  • 애드센스 승인전까지는 포스팅내에 링크(URL)은 넣으시면 안됩니다.

글을 쓰다보면 링크를 사용해야 더 좋은 포스팅이 될 글이 있습니다.

 

하지만 애드센스에서는 악용의 우려를 하고있어서

 

구글의 요구하는 대로 키워드 검색으로 인도까지만 해주면서 포스팅을 해주셔야 합니다.

 

 

 

  • 각종 검색엔진들의 서치콘솔과 웹마스터도구에 SEO 최적화를 시켜줍니다.

네이버, 다음, 구글에 SEO 최적화를 시켜주라는 뜻인데,

 

해주시면 봇이 처리하기전에 빠르게 검색에 노출이 됩니다.

 

 

 

  • 포스팅 내용은 최대한 표준어와 경어로 해줍니다.

애드센스 승인 심사를 신청하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사람들만으로는 전부 확인할 수가 없게 되며,

 

구글에서는 봇을 이용해서 심사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포스팅에 인터넷 용어, 줄임말, 은어, 사투리를 사용하면 구글봇이 당연히 내용을 읽어내는데에

 

차질을 겪게 됩니다.

 

 


자 이렇게 제가 준비한 루머를 제외한 디테일한 요소들은 전부 알려드렸습니다.

 

이 글을 읽고계신 여러분 모두 애드센스 승인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